서비스디자인으로 사회 문제 해결을 경험하는 부트캠프 워크숍 사례 연구

혁신적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씽킹 워크숍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비 디자이너를 참여시키는 데 중요한 방법이 되었다.

혁신적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씽킹 워크숍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비 디자이너를 참여시키는 데 점점 더 중요한 방법이 되었다.(Strachan, 2018).

현대사회가 발달하면서 복잡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사회현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접목하고 있다(Brown, 2008).

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을 교육하는 기업이나 부트캠프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대부분 서울에 집중되어 있었다 . 

부트캠프는 프로그램 체험하는 과정과 기간이 짧아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실제 활용 가능하도록 퍼실리테이션을 하여 참가자들이 학습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여 진행하였다.

참가자의 구성

 서비스디자인에 관심이 잇고 복잡하고 다양한 난제 해결에 관심이 있는 재학생, 졸업예정자 및 최근 기졸업자 등 모집하였다. 

지원자 선정기준은 관심과 열정으로 활동일 5회 동안 성실하게 참가할 수 있는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11명을 선정하고 3~5명으로 4개의 팀으로 구성하였다

커리큘럼

                                                                                                                                 🔻

서비스디자인 6단계에서 3단계 조정하여 계획하였다

부트캠프 워크숍 커리큘럼

 

1회

활동

1.팀 빌딩

2.Inspire ideate implement

과제

해결해야 할 문제 관련

예시 찾기

2회

활동

1.나만의 인사이트 보드 구성

2.이해관계자맵 제작

과제

이해관계자인터뷰와 타임라인 만들기

3회

활동

1.인사이트 보드 구성

2.사용자문제맵

과제

서비스디자인 아이디어 도출

4회

활동

1.시나리오 스토리 구성

2.고객여정도 구성

과제

고객여정도 구체화하기

5회

서비스디자인 결과물

프레젠테이션과 피드백

 

총 다섯 번의 워크숍을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전문적인 분석 방법을 배워 나가는 부트캠프는 전반적인 서비스디자인 사고의 논리 흐름을 알아보는 활동으로 워크숍 기간 참가자들이 아래 표와 같이 활동과 과제를 진행하고 퍼실리테이터와 함께 직접 경험하는 시간을 가진다.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을 수행한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하였다. 만족도를 수치화하여 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정량적 통계방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들의 구체적인 생각과 감정 등에 대해 심화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성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구글폼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질문은 주최기관, 콘텐츠, 전반적인 만족도,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을 총 세가지의 큰 주제로 구성하여 정리하였다.

긍정적 피드백에서 편안한 강의실 구성, 적합한 촉진자의 진행, 강의와 활동의 비율이 적당하다라는 결과가 나왔다.

부정적 피드백에서는 강의 자료제공과 디자인 방법 보충 설명 부족하였고, 과제 수준이 높고 참가자 인원수가 적다라는 결과가 나왔다. 

다음은 인터뷰 조사 결과이다. 워크숍 과정을 충실히 잘 수행한 참여자를 선정하여 문장완성법을 활용하여 참여자으 종합적 평가를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이 응답한 결과에서 공통으로 드러난 단어는 사고확장,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 의견존중/수용, 새로운 분야 방법을 배움/유익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서비스디자인 워크숍이 전통적인 디자인 사고와 어떻게 다른지 명확히 해야한다. 

둘째, 설문조사와 인터뷰의 부정적인 평가를 개선하여 퍼실리테이션에 도움이 되고 서비스 디자인 혁신 워크숍이 계속 확장되도록 더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셋째, 성공적인 워크숍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참가자 만족도의 주요 요소를 식별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부트캠프에서 실제 문제를 다루는 디자인 워크숍 활동에서 영감 및 문제 구조 단계를 중점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참가자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Brown, T. (2008). Design thinking. Harvard business review, 86(6), 84.

•Leifer, L., & Meinel, C. (2019). Looking further: Design thinking beyond solution-fixation. In Design Thinking Research (pp. 1–12). Springer.

 •국민디자인단.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s://www.facebook.com/govservicedesign

 •도시재생지원센터. 도시재생 아카데미.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www.djrc.kr/index.php?mid=djrc_academy

 •루트임팩트.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s://rootimpact.org

 •무한상상실.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s://ideaall.net/sub6/sub6_1.php

 •비즈니스 모델 젠.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businessmodelzen.co.kr/archives/1271

 •에스큐브디자인랩.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s://www.facebook.com/scubedesignlab/?ref=page_internal

 •와우 디자인 씽킹 부트캠프.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s://impact.career/career/491

 •제이컴즈 디자인씽킹 캡스톤 디자인캠프.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jcomz.com/sub02_08.html

 •충남대학교 머신러닝+빅데이터 부트캠프. Retrieved March 28, 2021, from https://plus.cnu.ac.kr/_prog/_board/?mode=V&no=2468316&code=sub07_0709&site_dvs_cd=kr&menu_dvs_cd=

 •텐지노 그룹. Retrieved March 28, 2021, fromhttp://www.tanginogroup.com

 •Strachan, J. (2018, May 1). Design thinking is not doomed—It’s misused. Medium. https://uxplanet.org/design-thinking-is-not-doomed-its-misused-cda1cf8948e1